친환경 데이터센터란 무엇인가
데이터 사용량이 급격히 늘어나면서 데이터센터의 에너지 소비와 환경 부담이 중요한 이슈로 부각되고 있으며, 이는 최근 AI 관련 정책에도 반영되고 있습니다. 이에 따라 **친환경 데이터센터(Green Data Center)**는 에너지 효율을 높이고 탄소 배출을 줄이며, 지속가능한 운영을 실현하는 전략적 인프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.
[IMAGE : gettyimages]
왜 친환경 데이터센터인가
1. 운영비 절감
에너지 효율이 높은 설비와 냉각 시스템을 도입하면서 전체 전력 사용량이 감소해 운영비를 절감할 수 있습니다. 특히 PUE 수치를 낮추면 에너지 효율성을 높이고 냉방 비용도 함께 줄일 수 있습니다.
2. 탄소 배출 및 환경 규제 대응
국내외 ESG 공시 확대, 탄소세 도입 등 환경 규제가 강화되는 가운데, 데이터센터의 탄소 배출을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것은 필수가 되었습니다. 친환경 설계와 운영은 기업의 환경 리스크를 줄이고, 지속가능경영 보고서 작성에도 기여할 수 있습니다.
3. 기업 이미지 및 고객 신뢰 확보
지속가능성을 실천하는 인프라를 운영하는 것은 고객, 투자자, 파트너에게 긍정적인 신호가 됩니다. 친환경 데이터센터는 사회적 책임을 이행하는 기업으로서의 신뢰를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.
친환경 데이터센터의 주요 구성 요소
첫째, 에너지 첫째, 에너지 효율화 기술의 적용입니다. 고효율 서버 장비는 물론, Hot/Cold Aisle Containment, 액침냉각(Liquid Cooling), Free Cooling 등 다양한 고효율 냉각 기술이 사용됩니다. 이를 통해 냉방에 필요한 에너지 소비를 최소화합니다.
둘째, **서버 가상화(Virtualization)**를 통해 리소스를 효율적으로 운영하고, 물리적 장비 수를 줄여 전력 소모를 줄입니다.
셋째, 재생에너지 활용입니다. 태양광, 풍력, 지열 등의 재생에너지를 센터 내 직접 설치하거나, 외부에서 조달(PPA 등)을 통해 사용하여 탄소 배출을 줄입니다.
넷째, 물 사용 효율성 개선입니다. 냉각 과정에서의 물 사용량을 최소화하기 위한 고효율 냉각 시스템이 적용되며, 이를 통해 WUE(Water Usage Effectiveness) 개선이 이뤄집니다.
다섯째, 전자폐기물 및 자원 관리입니다. 장비의 수명이 종료된 이후에는 적절한 방식으로 재활용하며, 종이 없는 사무환경과 같은 자원 순환 전략도 함께 적용됩니다.
성과 측정 지표
지표 | 의미 | 방향 |
PUE(Power Usage Effectiveness) | 데이터센터 전체 전력 사용량 대비 IT 장비 전략 사용량 비율 | ≤1.2 (the lower, the better) |
WUE(Water Usage Effectiveness) | 데이터센터의 물 사용량 대비 에너지 소비량 | As low as possible |
CUE(Carbon Usage Effectiveness) | 단위 에너지 사용량당 탄소 배출량 | As low as possible |
해당 콘텐츠는 저작권법에 의해 보호받는 저작물로 다우기술에 저작권이 있습니다.
해당 콘텐츠는 사전 동의없이 2차 가공 및 영리적인 이용을 금하고 있습니다.
Featured images via gettyimages
References